자살
-
> 정신건강정보 > 자살
자살
행위자가 자신의 죽음을 초래할 의도를 가지고 자신의 생명을 끊는 행위입니다. 또한, 정신질환이나 좌절·절망, 불명예 등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자신의 생명을 스스로 포기하는 행위입니다.
자살을 암시하는 신호에는 언어적 신호, 행동적 신호, 상황적 신호 등이 있습니다.
-
- 언어적 신호
내가 없어지는 것이 훨씬 낫겠어, 내가 사라지면 모든 것이 해결될 거야, 나는 아무런 쓸모가 없어 등
누군가가 이런 말들을 한다면 그 사람의 변화를 생생하게 잘 보아야 하며, 이 말들은 자살생각을 암시하는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언 말들을 놓치지 않고 생생하게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행동적 신호
약을 모은다, 수면이나 식욕의 변화, 주변을 정리, 자살계획을 세웁니다. 감정상태의 변화, 외모관리에 무관심 등 위와 같은 행동 등 평소와 다른 변화된 행동을 보인다면 그 사람의 변화를 잘 살펴야 합니다.
- 상황적 신호
가족이나 친구의 죽음, 경제적 어려움, 정신과적 문제, 신체질병, 대인관계 스트레스, 이혼, 사별 등
위와 같은 상황에 놓인 사람들이 누구나 자살을 생각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스트레스가 견딜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는 상황이라면 자살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상황 신호 또한 생생하게 보아야 합니다.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에게 자살생각과 계획에 구체적으로 물어보아야 합니다.
- 물어보아야 합니다.
- 구체적으로 언제 어떻게 자살할지 계획했나요?
- 자살에 사용할 도구를 가지고 있나요?
- 이전에도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나요?
- 주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자해
자신의 신체에 의식적으로 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합니다. 자상이라고도 합니다. 자신을 살해하는 자살과는 다릅니다. 손목을 긋거나 가스불에 화상을 입히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
- 원인
여러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가장 큰 이유는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서입니다. 자해를 하는 사람의 특징은 자해를 할 때 스트레스가 풀린다고 합니다. 그러나 자해로 인해 스트레스가 풀려도 얼마 안돼서 우울감이 되찾아옵니다. 이 행위를 반복하면 '자해중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
- 치료
자해 행동의 치료를 위해서는 약물과 행동 기법, 환경에 대한 관리, 정신역동에 근거한 치료 기법 등이 활용됩니다. 약물의 경우 자해 행동과 연관된 호르몬,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와 흡수 등을 조절하는 것이 주된 방법입니다. 행동 기법은 행동을 강화하는 주변의 관심이나 정적 보상을 제공하지 않거나, 자해 행동을 했을 때 싫어하는 자극을 제공하여 행동이 지속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더불어 스트레스를 받는 환경 또는 효과적 의사소통의 어려운 경우 자해 행동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환경에 대한 관리를 통해 자해 행동을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자살유가족
자살사망자에 1명에 대해 5~10명의 자살유가족이 생기며 우리나라는 매년 8만 명 이상의 자살 유가족이 생깁니다.
자살 유가족은 가족을 잃은 슬픔과 상실감은 심각한 우울증 증상을 불러 일반인보타 우울증은 7배, 자살위험은 8.3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 자살유가족 지원 안내
유가족 치료비 지원 : 입원비, 진료비 및 검사비
심리부검 면담 : 사별 후 3개월 이상~ 3년 이내인 직계가족 (중앙심리부검센터 연계)
거주지역 정신건강 서비스 연계 : 상담 및 자조모임 참여
자살 자가검진 바로가기